아기의 미소(심리)
본문 바로가기

정보

아기의 미소(심리)

반응형


<아기의 미소에 담긴 의미>


 

아기들, 그것도 신생아들은 웃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을거야.

심리학자들은 그동안 이러한 아기의 미소, 웃음에 대해 연구를 많이 해왔어.

그 결과, 미소는 단순한 미소 자체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감정을 유발하는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



 

태어난지 얼마 안 된 아기(신생아)는, 외부의 자극에 상관없이 미소를 지을때가 많아.

이것을 자발적 미소라고 해. 이러한 자발적 미소는 아기가 잠잘 때 자주 보여




 

그 후, 생후 2개월이 되면,

시각과 청각, 촉각 등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반응하는 외발적 미소를 짓기 시작해.




 

아기의 부모님은 이 미소를 보고 기뻐하고,

또 웃는 아기에게 부모님도 웃어주거나 안아주고 쓰다듬어 주는 행동을 하면서

상호작용은 점점 늘어가지



 

Fantz 라는 학자의 연구에 의하면, 아기는 다른 어떤 자극보다 사람의 얼굴을 선호한다고 해.

즉,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하려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 것일수도 있다고 말할 수 있는거야.



 

그 후, 한 달 정도(생후 3개월)가 지나면, 부모님 등 친한 사람들에게 자주 미소를 짓게 돼.

이것을 사회적 미소라고 하지

아기는 다른 사람에게 미소짓는 것이,

다른 사람의 미소나 자신에게 말 걸어주는 것과 같은 응답을 불러일으킨다는 걸 알게 되고,

친한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시작해.

하지만 이 시기에는 친한사람뿐만 아니라

처음 본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미소를 잘 지어주는데




 

생후 5개월이 넘어가면, 사회적 미소의 상대를 가리기 시작해서

친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에 대한 반응이 달라지게 돼.

친한 사람들에게는 미소의 회수가 많아지고 더 많이 웃거나 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그러한 행동의 횟수가 줄게 된다는 것이지.



 

그리고 생후 7~8개월이 되면 모르는 사람에게는 미소를 짓지 않고 고개를 돌리거나 울게 돼

이렇게 생후 8개월 때 사람의 낯을 가리는 것을 8개월 불안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어.

그럼 왜 생후 6개월을 경계로 아기는 이러한 변화가 생기는 것일까?

-> 아기는 태어나면서 원시적 반사를 가지고 태어나.



 

대표적인 원시반사의 예로 파악반사가 있어.

파악반사는 아기의 손바닥에 연필이나 손가락 같은 것을 두면 꽉 쥐는 것을 말해.



 

 

이러한 원시반사는 생후 6개월이 되면 없어지고, 새로운 행동을 익혀

또, 이 시기에 대뇌피질이 급속하게 발달하면서 아기는 표상(이미지)을 만들 수 있게 돼.

즉, 눈앞에 있는 것이 '어떠한 것이다' 라는 이미지를 만들어 기억속에 저장하는 것이지.



 

이렇게 표상을 생성할 수 있는 덕분에, 친한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어

쉽게 말하면, 자주 보는 사람은 이 사람은 '자주 보는사람(친한사람)'이라는 표상을 만들고,

모르는 사람은 '생판 처음보는 사람' 이라는 표상을 만들어서 서로 구분이 가능하게 되지

그래서, 결과적으로 이 시기를 경계로 아기는 낯을 가리게 되는거야



 

선천적으로 '미소' 라는 강력한 무기를 가지고 태어나기에

우리 아기들이 더 귀여운 것 아닐까?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의 공생  (0) 2019.08.17
위장 군함을 알아보자  (0) 2019.08.17
각 국가별 우주정거장에 대해 알아볼까?  (0) 2019.08.06
인간은 합리적인 동물일까?  (0) 2019.08.05
술 잘 마시는 방법을 알아보자.  (0) 2019.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