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이 슬금슬금 오르는 이유를 다시 알아보자
본문 바로가기

정보

기름값이 슬금슬금 오르는 이유를 다시 알아보자

반응형


석유와 가스를 둘러싸고 미국, 러시아, 독일, 사우디의 꼬인 상황을 알아 봄









1. 독일의 탈 원전에서 문제가 시작됨





2. 독일은 2022년까지 원전 17기를 폐쇄하고, 원전 폐쇄로 부족한 에너지는 러시아 천연가스를 더 받아 땜빵을 하려고 함





3. 독일과 러시아 사이에 두번째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까는 것으로, 독일이 필요한 천연가스의 75%를 파이프라인으로 공급 받을 수 있는 연간 1,100억 입방미터 규모, 공사비만 125조의 엄청난 사업이 진행됨.





4. 노드스트림2임





5. 노드스트림2가 미국의 계획과 삑사리가 나는 공사 였음





6. 셰일가스가 미국에서 터지며, 미국은 천연가스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바꾸는 작업을 시작함





7. 미국이 천연가스를 수출하려면 천연가스를 영하 160도 이하로 냉각해서 600배 압축이 된 LNG로 만드는 시설이 필요함.





8, 지금까지는 수입만 하던 터라 이 시설이 필요가 없었음





9. 미국은 13개 LNG수입항구에 액화시설을 만들어서 수입항을 수출항으로 바꾸는 공사를 진행했고, 2020년부터 하나씩 완공이 됨




10. 이런 상황에서 미국 셰일가스의 큰 고객이 되어야할 독일이 러시아로부터 천연가스를 공급받는 노드스트림2를 진행하자 미국이 빡침.  
 
 
11. 19년12월. 트럼프는 독일이 미국의 안보에 무임승차하면서 러시아 에너지의 포로가 되려고 한다고 비난을 한 후 노드 스트림2에 관련된 기업을 제재하는 2020 국방수권법에 사인을 해버림 


12. 독일은 주춤하고 공사를 질질 끌기 시작함. 
 
 
13. 푸틴이 빡침 
 
 
14. 푸틴은  OPEC의 감산합의를 박차고 나가버림.   


15. 코로나로 석유를 덜 쓰게 되자,  산유국들은 석유 생산을 줄이는 감산 합의를 해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었음.  
 
 
16. 감산 합의가 깨지자,  감산만 안하는게 아니라 산유국들이 알아서 석유를 능력껏 생산할 수 있게 제한이 풀린 것임.   
 
 
17.  푸틴의 감산합의 회의장 깽판을 사우디가 말릴줄 알았는데 동참을 해버리는 이변이 발생함.
 
 
18. 사우디도 문제가 있었음 
 
 
19. 사우디의 실질적 대빵인 빈 살만은 아버지 국왕이 85세로 노령이었음.


20. 아버지 국왕은   황태자인 빈 살만이 매사 마음대로 해먹는 것에 불만을 보이며 다른 왕자들에 관심을 보임. 
 
 
21. 아버지 국왕이 갑자기 ㄷ지며, 엉뚱한 왕자에게 왕위를 물려주는게 아닌가 걱정이 된 빈 살만은  사촌형이자 전 왕세자 였던 빈 라예프와 삼촌인 압둘 왕자를 체포 함. 
 
 
22.  빈살만 다음 순번인 왕위계승 2인자와 3인자를 체포 한 것이고, 죄명은 사형선고가 가능한 반역죄 였음
 
 
23. 빈 살만은  잠재적 경쟁자 였던 왕자들을 체포했지만, 전체 왕족들의 지지를 받아 순탄하게 왕위를 이어 받으려면 기름값을 높여야 함
 
 
24. 사우디가 버는돈은 기름 판돈이 거의 전부인데,  쓰는 돈이 어마무시 하다보니,  기름값이 배럴당 85불은 되어야 재정이 유지가 되는 상태라 그럼. 


25. 푸틴이 시작한 저유가 치킨게임에 사우디도 동참함 
 
 
26. 사우디는 970만베럴 생산을 1,230만까지 늘리겠다고 함. 사우디의 최고 생산능력이 1,200만인데, 1,230만까지 늘리겠다는 것은 현재 짱박아 놓은 비축유까지 풀겠다는 말이었음 
 


27. 사우디외 여타 산유국과 러시아가 너도나도 없이 원유 증산에 나서자, 기름값이 떡락하기 시작함.  2020년 3월경 이었음.  
 
 
28. 사우디와 러시아가 기름값 떡락을 각오한 것은 미국의 셰일회사들을 망하게 해서 경쟁자들을 쳐낸다음 기름값을 다시 올리겠다는 것이었음.
 
 
29.  러시아는 저유가에 버틸 힘이 있음. 배럴당 40불정도면 재정유지가 가능한데다, 5,700억불의 외화가 있어 그럼. 


30. 사우디도 석유 퍼내는 원가가 배럴당 10불 수준으로 워낙 싸서 존버의 끝판왕임. 


31. 그런데, 미국 세일회사들은  좀 다름. 


32. 미국 세일회사들은 자기돈이 아니라 남의 돈을 빌려서 투자를 함.


33. 유가가 떡락하니 돈을 빌려준 투자자들이 대출 만기 연장을 안해주고, 너도 나도 빌려준 돈을 상환받고 빠져나가자  미국 세일회사들이 하나씩 부도가 나기 시
 
 
 
34. 1년가까이 계속된 저유가에 금융 햇징을 해놓은 일부 세일회사들은 살아 남았지만, 대부분의 세일회사들이 망해 세일가스 공급이 줄어듬.   


35. 석유회사들을 파산시켜 공급을 줄이고 나면 유가는 다시 올리겠다는 사우디와 러시아의 작전은 어느정도 성공함. 

 
36. 사우디와 러시아는 다시 물량조절을 하며 가격을 올리기 시작함. 
 
 
37. 푸틴은 유럽에 공급하는 천연가스를 1/5로 줄여버림. 


38. 장기계약이 되어있는 가스는 그대로 공급했지만, 현물시장에 가스를 풀지 않아 버린 것임. 


39. 가스 부족으로 천연가스 가격이  역대최고인 1.5배 수준으로 올라가자 천연가스 대신 기름을 쓰는 곳이 늘어나며  기름 수요가 증가함. ​


40. 한때 마이너스 유가가 등장할 만큼 바닥이 아니라 지하를 파고있던 기름값이 올해들어 계속 오르는 이유임. 


41. 원래대로라면,  원유 가격이 오르면 세일기업들이 다시 생산시설 가동을 시작하고,  새로운 유전개발에 투자를 시작해서 공급이 늘어남. 


 ​
42. 바이든이 대통령이 되며, 미국은 신재생에너지로 방향을 전환함.


43. 기름값이 오른다고 하더라도,  앞으로 정부 지원은 신재생쪽이라  신규 유전 개발이나  기존 세일 가스전 재가동쪽으로는 자금이 몰려들지 않게 됨. 


44. 캘리포니아는 3년뒤부터는  신규 세일가스 유전 개발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하기까지 함. 


45. 미국이 기름과  천연가스의 주요 수출국이 되는 트럼프의 계획은 바이든의 신재생 에너지 위주 전환으로 없던 일이 되버림. 


46. 바이든 입장에서 노드스트림2는 이제 관심에서 멀어졌고,  미국의 견제가 줄어들자 노드스트림2는 공사에 속도가 붙음. 


47. 노드스트림2는 2021년 10월1일자로 완공됨. 


48. 아직 노드스트림2의 밸브를 열지는 않았지만,  하늘 높이 올라갔던 천연가스 가격은 노드스트림2가 완공된 10월부터 하락세로 돌아 섬. 


49. 탈원전을 러시아산 천연가스로 대응하려던 독일은  앞으로 푸틴이 마음에 안들면 실행하는 "잠가라 밸브"에 당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됨. 









한줄요약    천연가스값은 좀 떨어질것 같고, 여파가 관련업종에 퍼질것임.  탈원전 하던 독일은 러시아 천연가스 잠가라 밸브의 포로가 될 듯함. ​
 




반응형